사 설/유권자와 약속 반드시 지켜야

4·9 총선의 중구 투표율은 48.25%다. 전국 투표율 46%에 비하면 약간 높은 편이지만 선거사상 최저치다.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투표장에 나가지 않았다는 얘기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는 중구 유권자 10만6천여명중 61.9%인 6만5천631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하지만 이번 투표율을 보면 17대 보다도 13.65%나 작은 수치다.

 

 투표율이 말해 주듯 주민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내지 못한 원인은 정치권에 있다.

 

 대통령선거가 끝난지 얼마되지 않은 문제도 있었지만 정치적 이슈가 부족한 것은 물론 정당의 전략공천과 공천 파동 등이 어우러지면서 주민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4년 전 탄핵 역풍 속에서도 중구는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으로 이원화되면서 한나라당이 어렵지 않게 승리했다. 이번에는 자유선진당의 등장으로 2004년과는 반대 구도여서 통합민주당에서는 혹시 그 당시처럼 재현되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 없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뒤늦게 전략공천된 정범구 후보는 중구의 터줏대감 정대철 고문의 협조와 기존 지지기반을 끌어내지 못했고 당내부의 결속을 가져오지 못하면서 참패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중구는 그동안 야성이 강한 지역이었지만 대규모 아파트촌이 들어서면서 보수 성향이 짙어졌고 유권자들도 많이 변했다. 하지만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비슷한 고정층을 확보하고 있고 중앙정치와 시대상황에 따라 변수로 작용해 왔다.

 

 그리고 이번 선거에서는 특히 나 후보와 신 후보의 대결로 압축되면서 정 후보가 관심의 대상에서 멀어진 것도 참패의 원인이 됐고, 나 후보가 대변인으로서 국민적 스타로 부상한 것도 한 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제 선거는 끝났고 승패도 갈렸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자유선진당은 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승패에 담긴 민심을 헤아려야 한다. 이제 당선자는 당내에서 입지 강화는 물론 흩어진 중구민들의 민심을 바로잡고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도 창출하면서 중구의 현안문제등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획일적인 도심규제가 중구발전을 저해하는 근본 요소인 만큼 도심 용적률 상향조정에 앞장서고, 남산최고고도지구로 인해 재산권을 행사할 수 없는 주민들에 대한 대책도 강구해야 한다.

 

 국회의원은 행정부를 견제하고 법률을 제정할 수 있는 입법기관이지만 지역주민들이나 국민들의 여론도 수렴해야 하는 결코 쉽지 않은 자리다. 유권자들의 새로운 인물과 새로운 변화를 기대하는 심리가 반영됐다고 평가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의정활동도 당연히 뒤따라야 한다.

 

선거운동기간동안에는 각동의 골목골목을 누비며 중구의 현실을 직시한 만큼 유권자들에게 호소했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그래야만 주민들이 신뢰할 수 있고 그 선택에 후회하지 않을 것이며 또 다른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가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