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 2023년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된다는 부푼 기대감과 희망으로 많은 사람이 가족, 친구, 연인 등과 함께 산과 바다로 가서 새해 소망을 기원할 때 우리 중구 장충동에 홀로 사시는 어르신 한 분께서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했다.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면에 자주 등장하게 된 단어, 바로 고독사로 돌아가셨다. 고독사란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 혹은 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 발견되는 죽음을 말한다. 2021년 고독사 수는 3천378명(남성 2,817명, 여성 529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1% 정도 되는데 이는 생각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가장 높은 나이는 80대다. 1인 가구의 급증과 핵가족화, 빈부격차의 심화 등에 따라 이와 같은 고독사가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자녀들과 떨어져 지내는 어르신들은 이러한 고독사에 더욱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고 경제적 빈곤층은 금전적 여유가 없어 대인관계를 맺기 어렵고 취미생활이나 의료적 접근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고독사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3년간 지속된
존경하는 중구민 여러분! 그리고 애독자 여러분! 2023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습니다. 계묘년인 토끼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다산·풍요를 상징하고 재앙을 물리치는 영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토끼는 우리 민족의 정서속에 가장 친근하게 자리 잡은 동물중의 하나로 조상들은 달 속에 불로장생의 이상세계를 꿈꾸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토끼의 대표적 이미지는 꾀와 영특함입니다. 대표적인 민담인 ‘별주부전’에서 토끼는 꾀로써 강한 자를 물리치는 영리한 존재로 등장합니다. 또 다른 민담에서도 토끼는 자신을 잡아먹으려는 호랑이에게 얼음판에 꼬리를 담그게 해 물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다고 속이고 얼어 죽게 만드는 영특한 동물로 묘사되기도 했습니다. 작년 임인년 한 해에는 지구촌을 뒤덮었던 코로나19 방역이 완화돼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는 소중한 일상생활을 되찾기도 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 ‘용산시대’ 개막 △북한 ‘핵무력 법제화’ 역대 최대 67발 미사일 도발 △이태원 핼러윈 참사 158명 사망 △대한민국 일상을 멈춰 세운 카카오 먹통 대란 △화물연대 파업 대응 노동개혁 본격화 △K팝등 드라마, 영화, 클래식까지 섭렵 △고금리, 고물가에 무역적자
계묘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가정마다 평안과 기쁨이 가득하길 소망합니다. 2023년 중구는 구민 여러분의 삶을 바꿀 변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첫째, 대한민국의 얼굴, 서울의 중심 중구에 산다는 자부심을 회복하겠습니다. 낡고 위험한 도심에 ‘살만한 집’을 채우고 일과 쉼, 문화를 융합해 살고 싶은 중구를 만들겠습니다. 이를 위해 구청의 역할을 전환하겠습니다. ‘찾아가는 주민설명회’로 부르는 곳 어디든 달려가 개발 정보를 투명하게 알리고, 구청이 재개발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돕겠습니다. 남산고도제한 등 규제 완화를 위해 정부·서울시와도 발맞추겠습니다. 둘째, 탄탄한 복지로 다함께 행복한 중구를 만들겠습니다. 어르신 복지를 강화하고 중구의 미래인 아이들을 위해 두터운 보육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장애인·독거 어르신 등 취약계층도 빈틈없이 지원하겠습니다. 셋째, 100년 뒤를 내다보는 교육정책으로 급변하는 사회 속 아이들의 경쟁력을 키우겠습니다. 학교 시설과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개선하고, 은행·증권사 등과 연계한 금융경제교실 등으로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하겠습니다. 넷째, 골목마다 경제 활성화의 바람을 불어넣겠습니다. 전통시장, 골목상권, 도심산업이 환경 변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