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있는 후보 공천돼야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예비후보들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어 점입가경이다. 예비후보자들이 난립하면서 얼굴 알리기등의 선거전이 조기 과열양상을 빚고 있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유력한 지방선거 출마예정자를 겨냥한 악성루머나 흑색선전, 그리고 경선을 대비한 당비대납, 당원 매수, 선거브로커등이 활개치는 상황을 경계해야 한다.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이 후보공천을 3월19일 예비후보등록 이전에 할 계획임에 따라 지방선거에 출마하려는 예비후보들은 사전 포석을 위해 선거구를 누비고 있다.

 

 특히 구청장이나 시의원과는 달리 구의원은 중선거제로 변경되면서 공천이 곧 당선으로 연결된다는 매력 때문에 도전하려는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다.

 

 그동안 시행해 오던 지방의원을 명예직에서 유급제로 바꾸고, 정당공천제를 허용하고 소선거구에서 중선거구제로 변경됐으며 여성할당 비례대표제도 도입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남성후보들은 난립하는 반면 여성후보들을 찾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중구에서는 여성후보로 거론되는 사람이 거의 전무한 상태로 여야가 공히 요구하고 있는 여성 30%는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

 

 비례대표도 시의회는 잘 모르지만 구의회 의원 경우도 후보가 많지 않아 고민할 정도다.

 

 기초의원의 경우도 젊은 후보가 많지는 않지만 일부에서 출마를 저울질하거나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어 여성 후보에 비교하면 그나마 나은 편이다.

 

 또한 예전에는 당내 경선에서 탈락한 후보들이 대부분 출마하면서 지방선거가 몸살을 앓아왔지만 이번 선거부터는 공천신청한 사람은 탈락하게 되면 후보등록이 불가능토록 법을 정비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정당사상 처음으로 지방선거 후보자 공천권이 시ㆍ도위원장에게 위임돼 있어 시ㆍ도당 위원장들의 역할은 매우 크다. 지방선거 후 1년여 뒤에 있는 대통령선거에 포커스를 맞추고 정당기여도 정당평가 주민평가등 다면평가를 기준으로 공천할 계획이어서 의외의 인물이 공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풀뿌리민주주의는 15년을 접어들면서 정착단계에 와 있다. 명예직이던 것이 정식으로 월급을 주고 의정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책임도 그 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역량있는 후보들을 공천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구청장과 시의원도 옥석 가리기가 쉽지 않지만 구의원 후보는 공천이 곧 당성과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더 옥석 가리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모든 것은 유권자 몫이다. 유권자만이 각 정당의 타락 과열 선거를 저지할 수 있다. 진정한 지역일꾼을 뽑아야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 수 있다. 유권자에 의한 신선한 바람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