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단공원서 사명대사 추모제

(사)사명당기념사업회등 주최…율법공양 다례제등 봉행

(사)사명당기념사업회(회장 박권흠)와 대한민국지키기불교도총연합(회장 박희도)은 지난 10일 장충단공원 사명대사 동상 앞에서 임진왜란시 나라에 공을 세운 의승병 대장 사명대사를 기리기 위한 ‘제4회 호국성사 사명대사 추모제’를 실시했다.

 

 사명대사(속명은 응규, 자는 이환)는 1544년 경남 밀양 풍천임씨 가문에서 태어나 13세 때 출가, 18세에 승과에 장원급제했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체찰사 유성룡과 서산대사가 보낸 격문을 받고 건봉사에서 창의, 의승병과 서산대사 순안군 각각 1천여 명을 합세해 게릴라전으로 왜적의 보급로를 차단해 적을 고립시킨 업적을 남겼다. 이후 1597년 정유재란시 울산 도산에서 전공을 세우고 비축해 둔 군량 4천여 석과 기갑 1만여 개를 나라에 바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로 제수했으며 1610년 67세를 일기로 해인사 홍제암에서 열반에 들었다.

 

 추모제에는 정동일 구청장을 비롯해 최병환 시의원, 이혜경ㆍ양동용ㆍ김연선 구의원, 사명당기념사업회 박권흠 회장과 석일정 보령지부장, 대불총 박희도 회장등 많은 내빈들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사와 봉행사, 제향 등을 진행했다.

 

 제향은 (사)한국차인연합회의 주관으로 전통제례와 육법공양 다례제를 봉행해 헌촉, 헌향, 헌화, 헌과, 헌병, 헌다를 올려 사명대사의 넋을 기렸다.

 

 아울러 육군 군악대의 추모가 연주, 사명대사 찬가와 더불어 소리사랑의 풍물놀이가 펼쳐지기도 했다.

 

 나경원 국회의원은 추모사에서 “위기에 분연히 맞서 싸워 이겨냈던 선조님들처럼 우리도 하나로 뭉쳐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박권흠 사명당기념사업회장은 봉행사에서 “이 나라의 수호신이신 사명대사의 호국정신이 후손들에게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불총 박희도 회장은 추모사에서 “국민들이 대사의 숭고한 훈업을 이어 받아 국가의 안위를 위해 남다른 결의를 해야 하는 시대적 사명감으로 추모제를 하게 됐다”며 “국난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석일정 보령지부장은 추모사에서 “시대가 어렵고 혼란스러울수록 대사님의 크신 법력과 충혼의 정신을 회상하며 한마음으로 애국사상을 퍼트리자”고 말했다.

 

 정동일 구청장은 “매년 열리고 있는 사명대사 추모제를 통해 구국애민의 표상인 사명대사의 빛나는 업적을 선양하고 대사의 나라사랑 정신을 역사의 교훈으로 삼아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 큰 계기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