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케어 동고동락 프로젝트' 추진

중구, 희망제작소와 시범사업 협약… 창조적 지역공동체 활동전개

 

지난달 26일 구청 기획상황실에서 김영수 구청장 권항대행과 유시주 희망제자소장이 '마을만들기 모델 시범사업'에 관한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구는 지난달 26일 구청 기획상황실에서 민간 컨설팅 전문기관인 희망제작소와 '마을만들기 모델 시범사업' 협약을 맺었다.

 

이날 김영수 구청장 권한대행, 유시주 희망제작소장, 우상길 행정관리국장, 각 동 주민자치위원장, 동장, 팀장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영수 구청장 권한대행과 유시주 희망제작소장이 △자치회관 진단 및 마을비전 △마을 만들기 모델 시범사업 △자치회관 및 주민자치위원회 활성화 △자치위원 및 자원봉사자 교육 등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와 함께 수도대학 동경 도시환경과학연구과 박사 김미현 교수의 세미나도 전개됐다.

 

김영수 구청장 권한대행은 "오늘 우리는 희망제작소와 마을만들기에 관한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새로운 희망과 부푼 꿈을 키울 수 있게 됐다"며 "이제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활성화해 창조적 지역공동체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시주 소장은 "일본에 가보면 작은 지역에도 자세한 설명을 해주는 해설사가 있는 커다란 박물관이 있는 곳이 많다"며 "지역에 거주하면서 남다른 애착을 갖고 있는 자치위원들과 함께 중구가 갖고 있는 많은 이야기들을 살려내도록 최선을 다해 돕도록 하겠다"고 했다.

 

조정호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장은 "오늘 협약을 이후로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드는 데 주민자치위원이 핵심리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이제는 주민자치 시대이므로 주민 스스로 살기 좋은 마을을 함께 만드는 것은 커다란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중구에서 살기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마을케어 동고동락(同GO洞樂) 프로젝트'는 주민이 스스로 마을을 진단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발전방안 연구 및 시범사업을 발굴·추진하는 마을만들기 모델 시범사업이다.

 

이 프로젝트는 중구 내 6개동을 시범동으로 해 1개반에 3개동씩 2개반으로 운영되며, 동별로 15명의 마을리더가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