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서울역이 원형을 복원하고 내부적으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된다고 한다. 그동안 KTX 신역사 개통 후 기차역의 기능이 소멸돼 전시장 등으로 활용돼 왔지만 1925년 완공돼 84년의 역사적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어 건축학적 가치는 물론 역사(驛舍)와 장소적 가치도 간직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건축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복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사업은 구 서울역사의 역사ㆍ문화적 의미를 살려 프랑스의 오르세이 미술관과 같은 세계적인 문화명소를 육성하기 위해 총 200여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 2011년 3월 완공, 우리나라 대표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으로 본격적인 리모델링에 착수한다는 것이다. 원형 등 건축양식은 그대로 보존하면서 상설전시관, 다목적전시실, 공연장, 사무실 등이 들어서게 되면 서울시민들의 다양한 문화적 용도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중앙현관과 상부의 돔을 중심으로 엄격한 좌우 대칭의 구성을 갖고 있는 부흥식(復興式, 일제강점기 르네상스 건축양식)으로 고전주의건축의 일반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전형적인 르네상스 건축양식에서 일부 이탈된 모습(돔
대한민국 헌정사에 길이 남을 민주화의 상징 김대중 전 대통령이 18일 서거함에 따라 제3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가 축소됐다. 다행히 장례절차가 국장으로 결정되면서 9일장을 유족과 협의해 6일장으로 축소하면서 24일 영화제 개막을 늦추지 않아도 되는 아슬아슬한 상황이 전개됐다. 영화제를 하루 앞둔 23일 일요일 영결식에는 세계 조문단이 대거 방한해 고인을 추모했으며, 북한 조문단도 방문해 이명박 대통령과 면담하는 등 사후에도 남북평화와 화해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섯 번의 죽을 고비를 넘기고, 수년간 망명생활을 하면서도 반독재 투쟁에 헌신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 그분의 삶 자체가 '인동초'였으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산 역사였다. 1997년 12월 제15대 대통령으로 당선돼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영광도 안았다. 그런 그가 서거하자 중구에서는 비상이 걸렸다고 한다. 제3회 서울충무로국제영화제를 앞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연이은 대책회의에서 레드카펫 대신 블랙카펫으로 하면 어떠냐는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사이버 공간인 다음 아고라 등에서 공론화돼 기발한 생각이다. 블랙카펫이 좋겠다는 의견이
올해로 3번째 맞이하는 충무로국제영화제가 5일 앞으로 다가왔다. 24일부터 9월1일까지 충무로 일대서 열리는 이 영화제는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키워드로 40개국 214편이 상영되는 등 이제 3회에 불과하지만 세계 영화인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대한민국 중심이면서 영화의 메카인 중구 충무로에서 열린다는 점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지만 고전영화를 바탕으로 전 세계의 최신작과 화제작을 통해 영화의 미래를 조망하며, 다양한 페스티벌과 함께 미경쟁 국제영화제(부분경쟁 포함)로 열리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세계적인 영화제와 어깨를 나란히 하려면 외형도 중요하지만 내실을 다지고 충무로를 중심으로 하는 상징물을 도출해야 한다. 이 상징물을 서울 또는 중구를 중심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서울과 중구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인지가 먼저 결정돼야 한다. 현재 중구의 꽃은 장미며, 나무는 소나무, 동물은 까치다. 서울의 상징은 해치며, 동물은 까치고 꽃은 개나리, 나무는 은행나무다. 충무로라는 BI가 있지만 상징적인 동물이나 나무는 결정돼 있다는 소식을 듣지 못했다. 매년 5월 프랑스에서 열리는 깐느 영화제(Cannes Film Fes
도심에 지하도로를 구축하는 획기적인 발상을 서울시가 발표해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시는 6개 노선에 2개 순환망 지하도로를 구축하고 주요 지점엔 대형 지하주차장을 건설해 연결한다는 것이다. 또 경제성과 안전성 등을 고려해 소형차 전용 복층도로도 건설하고, 지상은 8차로를 6차로로 줄여 보행과 자전거, 인간중심 친환경 공간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서울 전역이 30분대 이동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서울 지하 40~60m 깊이에 도심을 격자형으로 연결하는 ‘도로대동맥’을 뚫어, 지하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지상공간의 도로교통 수요 일부를 지하로 전환해 나가기 위해 연장 149㎞의 지하도로망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지하도로망은 남북 간 3개축과 동서 간 3개축의 총 6개 노선으로 구축해 서울의 지하를 거미줄 교통망으로 연결하게 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서울엔 2개의 지하도로 순환망과 현재 운영 중인 내부 순환도로와 건설 중인 강남순환도로 등 총 4개의 순환망 인프라가 구축돼 도심으로 진입하는 교통량 흐름이 효율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심과 부도심의 교통량을 줄여 8차로 이상의 지상도로는 도로다이어트
최근 서울시가 재개발 정비구역지정 절차를 개선하고 기간을 대폭 단축키로 하는등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한다. 작년과 올해 구역지정을 한 53개 재개발구역을 분석한 결과 자치구에서 정비구역지정을 신청한 이후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심의결과의 보완과 구역지정고시까지 걸리는 기간은 최단 71일에서 최장 708일로 평균 228일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심의는 평균 2.1회를 받았고 심의를 한번 받는 데는 평균 26일이 걸렸으며 자치구에서 수립한 정비계획이 미흡해 보완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1개월 이상 늘어난 평균 68일이 소요됐다고 한다. 최종적으로 심의에 통과한 뒤에도 구역지정을 고시하기까지는 평균 56일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재개발 구역지정이 많이 걸리는 원인으로는 사업성 위주의 무리한 정비계획을 조정하지 않고 정비구역지정을 신청하거나, 기준에 부적합한 정비계획을 신청함으로써 이를 보완하거나 재계획하는데 시일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사업성이 없다는 이유로 심의결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재상정함으로써 심의 횟수가 늘어나는 것도 한 원인이며, 서울시에서도 신청된 계획을 검토하는 데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출산장려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출산장려에는 별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서울시의회에서 서울 25개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출산아동 수는 2007년 10만1천920명에서 2008년 9만6천17명으로 5천903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출산장려금 지급 등 다양한 출산장려정책에도 불구하고 전년도에 비해 5.8% 감소했다는 것이다. 출산아동이 감소하고 있음에도 서울시의 인구는 2007년 1천42만1천782명에서 2008년에는 1천45만6천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0.3%인 3천4천252명이 증가했다고 한다. 서울시 인구 109명당 1명이 출산, 인구대비 출산율은 0.92%에 불과했으며 마포, 구로, 성동, 강서, 영등포구는 1%를 넘어섰지만 중구와 함께 부자동네인 강남 3개구 인구대비출산율은 1%미만이었으며, 종로구는 인구출산율이 0.65%에 불과해 최저를 기록했다고 한다. 중구는 작년 한해 동안 1천43명이 출산해 395명에 출산장려금을 지원했으며, 총금액은 1억5천20만원이었다. 중구는 현재 둘째를 낳을 경우 20만원, 셋째는 100만원, 넷째 300만원, 다섯째 이상은 500만원에서 3천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미공병단 부지를 중구서 매입하자. 이는 현재 국방부와 서울대가 땅 소유권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어 언제 매물로 나올지 모르기 때문이다. 국방부가 지난 5월 서울대와 소유권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구 을지로 5가의 시가 1조원대 미 극동공병단(FED) 부지의 등기이전을 끝마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고 보도됐다. 일단 국방부 소유가 됐지만 서울대가 해당 주소지 등기소에 '정정신청'을 했고, 행정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땅 싸움'이 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국방부 군사시설기획관의 말을 인용해 보도된 내용을 보면 “미 극동공병단 주둔지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 을지로 일대 4만3천여㎡ 면적의 땅 소유권을 5월28일부로 교육부에서 국방부로 등기이전 했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 부지는 2007년 12월 법제처의 유권해석으로 국방부의 땅이라고 결론이 났다"면서 "당시 법제처가 을지로 부지는 국방부 땅으로 국방장관은 땅을 팔아서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사용할 수 있다고 유권해석을 내려 더 이상 서울대가 왈가왈부할 사안이 아니다"고 설명했다는 내용도 덧붙였다. 하지만 서울대 측에서는 “지난 5월
일부 초ㆍ중ㆍ고에서 시설물을 사용하고 내는 시설사용료가 학교 쌈짓돈처럼 사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고 한다. 서울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양창호 의원은 서울시관내 초·중·고 1천266개 학교가 자체적으로 징수하는 시설 사용료를 분석한 결과 연간 208억원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현재 최고의 시설료를 징수하는 학교는 성동공고로 매년 4억5천583만원, 덕수초는 4억2천39만원을 징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반면에 초등학교 64개교, 중학교 55개교, 고등학교 69개교 등 전체 14.8%에 해당하는 188개교는 한 푼의 시설료도 없었다고 밝혔다. 서울시 학교시설사용료 징수현황을 보면 초등학교는 573개교 80억6천422만원으로 학교당 평균 1천407만원이었으며, 중학교는 369개교 66억9천618만원으로 학교당 평균1천815만원이었고, 고등학교 300개교 61억1천898만원으로 학교당 평균2천31만원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학교시설사용료의 경우 서울시교육청이나 자치구에서 투자한 학교시설로 시설사용료를 징수하면서도 공용시설에 대한 사용료를 학교예산에 편입해 이를 사유화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내는 구청에서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