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설/남산봉화식과 독도 영유권

광복 제66주년을 맞아 하루 전날인 지난 14일 남산에서는 남북통일을 염원하는 남산봉화가 활활 타올랐다. 빗줄기도 숨을 죽인 가운데 올린 봉화식은 동토에서 신음하고 있는 동포들에게 전해지기를 간절히 기원하면서 경건하게 진행됐다.

 

이 봉화식은 우리 민족의 숙원인 조국통일을 염원하며 선조들이 봉화를 올려 국가 안녕을 지키고 국난을 극복했던 봉화식을 재현함으로써 애국애족의 정신을 함양해 한반도의 화해와 협력, 평화와 통일을 이루는 초석이 되고자 매년 개최되고 있다.

 

남산 봉수대는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뒤 1895년(고종 32) 5월 9일(양력 7월 1일)까지 500여년간 존속돼 왔다고 한다. 동쪽에서 서쪽을 향해 제1·2·3·4·5봉등 5개소가 있었으며, 전국 각지에는 총 686개소의 봉수대로부터 전달되는 경보를 병조에 종합 보고하는 중앙 봉수소의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낮에는 연기로써, 밤에는 횃불로써 지방의 소식을 중앙에 전달했다고 한다. 전국을 적당한 간격으로 나누어 정찰이 용이한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축조해 평상과 위급 상황별로 봉수의 숫자를 구분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국가위난의 상황을 횃불을 통해 알렸던 당시 상황을 재현함으로써 중구에서는 통일로 이어질 수 있는 초석을 다지기 위한 행사로 마련하고 있다. 결국 통일 이라는 우리민족의 염원을 담은 것이지만 이제는 통일과 함께 영토분쟁에 휘말리고 있는 독도를 사수하는 문제도 병행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같은 민족이 남북으로 분단된 상황에서 통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일본이 자기 땅인 것처럼 분쟁지역으로 몰고 하는 것은 화해와 공존보다는 국익을 우선시하는 일본의 패권주의에 근거한다고 봐야 한다.

 

그리고 남산에 있던 장충단을 헐고 공원화 했던 일본의 인면수심 행태를 보더라도 통일만 부르짖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중구민과 서울시민, 대한민국의 안위와 직결돼 있는 영토 또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날 남산 봉화식에서 나경원 의원은 동료의원들과 함께 독도를 방문할 계획이었는데 기상악화로 인해 연기됐다며 이제 조용한 외교를 떠나서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만천하에 밝히고 일본 망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그리고 모든 것은 우리의 남산에서 출발토록 하자고 독려했음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는 독도에 해병대를 주둔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여야 의원들도 잇따라 독도를 방문해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만천하에 알리겠다는 것이다.

 

일본의 우익 국회의원들이 독도방문 명분으로 인천공항에 도착하면서 촉발되기는 했지만 이미 조용한 외교라는 잣대가 결국 이 같은 상황을 촉발케 했음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남산봉화식이 홰에 따라 위급상황을 전달했듯이 홰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통일과 국가안위 수호라는 대명제로 수정하는 것도 그 의미가 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