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었어요”

이형연 대표기자 ejgnews@hanmail.net 2018.10.25 10:21:50

투머로우 북 콘서트… 아버지와 자녀 소통‧공감의 필요성 제시

 

지난 12일 중구청소년수련관에서 북콘서트가 열리고 있다.

 

/ 2018. 10. 24

 

문혜진씨는 중학생 시절 아프리카를 방문했다가 큰 사고를 당했다. 그리고 긴급 후송돼 독일에서 수술을 받았지만 평생 휠체어에 의지해서 살고 있다. 문씨의 부친은 계부로 평소 아빠라는 말이 나오지 않아 대면 대면하면서 살았다. 하지만 사고 뒤 수술받고 나오는 병실 앞에 아버지가 서 있었다. 나도 모르게 아빠라고 큰소리로 불러봤다. 아빠가 많이 아팠지 하는 말에 아버지 가슴에 묻고 많이 울었다. 민망하고 부끄럽다는 생각 때문에 평소에 표현을 제대로 못했는데 사고 후 완전히 달라졌다.

 

양손을 쓰지 못해 발로 작품을 그리는 구족화가인 최웅렬씨는 ‘나와 마인드 강연’을 통해 7개월만에 장애로 태어난 자기를 아버지는 미워하는 줄 알았다. 아버지는 평소 술만 한잔하면 내가 저 애보다도 오래 살아야 되는데 라고 탄식했기 때문에 빨리 죽기를 바라는 것으로 생각했다. 평생 듣기 싫은 말이 병신이라는 말이었다고 했다. 그리고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해 싫어하는 줄 알았다. 아버지가 돌아가신지 18년이 지난 지금 아버지의 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음의 눈을 떴기 때문이다. 부친을 생각하면 고맙고 감사하다는 생각에 눈시울이 붉어지기도 한다. 사람에게는 마음이라는 과일이 있다. 마음 즉 생각을 바꾸면 행복을 느끼게 된다. 마음이라는 과일에는 아버지 같은 깊은 맛이 있다. 부모님이나 친구들의 마음을 보고 확인하면서 행복을 나누고 전파하면서 살아야 한다. 난 지금 불편하지만 행복하다.

 

지난 12일 중구청소년수련관 지하 강당에서는 스페셜마인드교육원이 주관한 시즌1 ‘그때는 아버지를 이해할 수 없었어요’라는 투머로우 북 콘서트가 개최돼 참석자들과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때는 아버지의 마음을 이해할 수 없었다고.

 

이날 콘서트에는 청년, 가족 등 100여명의 주민들이 참여한 가운데 북 콘서트 리뷰 영상을 시작으로 아카펠라와 어쿠스틱 밴드공연이 펼쳐졌다.

 

문혜진씨의 사회로 애정표현 많이 하는 대상, 아버지가 내 나이였을 때 꿈꿔온 꿈에 대한 이야기, 아버지에게 마지막으로 사랑한다고 말한 적은 언제였나 등의 질문을 통해 별로 말이 없지만 마음이 따뜻한 아버지의 마음을 이해하고 소통하면서 공감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Copyright 2001 JungGu Autonomy Newspaper.


중구자치신문 | (04590) 서울시 중구 다산로20길 12(신당동) 수창빌딩 312 발행/편집인 : 이형연 | Tel. 02)2237-3203~4 Fax. 02)2237-3721 Copyright 2001 JungGu Autonomy News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