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 내 화장실 효율적 활용방안 모색

중구자치신문 기자 ejgnews@hanmail.net 2015.02.05 15:08:51

녹지공간 최대 확보… 공원내 화장실 점차적으로 축소 검토

/ 2015. 2. 4

 

바쁜 일상속에 삶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푸른 녹지공간은 시민들에게는 도심의 오아이스와 같다. 어떻게 녹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을까?

 

중구는 도심 곳곳에 조성돼 있는 공원내 화장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녹지공간을 최대 확보하는데 주력한다.

 

우선 모든 공원에 화장실이 설치돼야 한다는 발상에서 벗어나 공원의 특성에 따라 편의시설 조성여부를 검토한다.

 

공원내 화장실은 CCTV가 설치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안이나 쓰레기 처리문제, 잦은 고장이나 보수관리 문제 등으로 문제점이 대두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마을마당과 같은 작은 공원이나 체육공원, 역사공원, 문화공원 등 시설공원에는 공원내 신규 화장실 건립을 최대 지양하고 주변건물 화장실을 활용토록 한다.

 

청구역 주변에 위치한 마을마당 공중화장실은 청구역 승강기 설치예정에 따라 지하철 내부 화장실 이용이 가능하므로 철거를 검토 중이다.

 

공원내에 설치된 기존 화장실은 공원 주변에 대체할 화장실이 없는 경우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인근에 화장실이 위치한 경우 공원밖의 화장실을 이용토록 홍보함으로써 점진적으로 화장실을 축소하여 공원내 녹지공간을 확충한다.

 

현재 중구에는 손기정체육공원, 서소문역사공원, 정동근린공원 등 근린·주제공원 7개소, 어린이공원·소공원 21개소, 마을마당 9개소 등 총 37곳에 22만㎡의 면적에 달하는 공원이 조성돼 있다.

 

이 중 화장실이 설치돼 있는 공원은 전체공원 중 35%에 달하는 13곳이다.



Copyright 2001 JungGu Autonomy Newspaper.


중구자치신문 | (04590) 서울시 중구 다산로20길 12(신당동) 수창빌딩 312 발행/편집인 : 이형연 | Tel. 02)2237-3203~4 Fax. 02)2237-3721 Copyright 2001 JungGu Autonomy Newspaper.